부스트캠프를 진행하는 중에 2년 전에 멋쟁이 사자처럼 과정을 진행할 때 사용했던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Cloud)를 다시 사용할 일이 생겼습니다. 이참에 nCloud를 다시 사용해보면서 까먹지 않도록 서버를 열고 접속하는 과정을 블로그 글로 간단하게 남겨보려고 합니다.

 

목차


    0. 서버 생성하기

    서버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네이버 아이디를 이용하면 쉽게 로그인하실 수 있습니다.

     

    상단 네비게이션 바에서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서버를 누르고 이용 신청하기를 누릅니다.

     

    개설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들이 나오는데, 저는 크레딧을 이용해서 1세대 Compact-g1 서버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처음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2021년 9월 16일 기준으로 10만원 상당의 크레딧과 함께 1년간 무료로 micro(g1) 서버를 여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저는 아래와 같은 타입으로 서버를 만드려고 합니다.

    우분투 18을 기반으로, 50GB의 디스크 크기를 가진 서버를 선택했습니다.

     

     

    서버 설정도 간단하게 해줍니다.

    여기서도 서버 세대와 타입을 고를 수 있네요!

    가격차이가 꽤 크기 때문에 잘 확인하시고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그 다음에는 인증키를 생성합니다.

    이미 인증키가 있다면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인증키가 없다면 굉장히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생성하셨다면 파일을 잘 보관하셔야 합니다!

     

     

    네트워크 접근을 위한 ACG를 선택합니다.

    저는 신규 ACG를 생성하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오셨다면 최종 확인 단계입니다!

    선택한 서버가 맞는지, 이름은 맞는지, 인증키와 ACG는 잘 선택되었는지 확인하고 하단의 서버 생성 버튼을 눌러줍시다!

     

     

    그렇게 확인을 누르면 모달창이 뜹니다.

    여기서는 서버가 생성중이라는 말이 나오면서 포트포워딩을 하라고 합니다!

     

     


    1. 서버 접속 환경 설정

    위 모달창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으로 이동됩니다.

    포트 포워딩을 설정하기 위해 서버가 부팅되고 설정될 때까지 기다려줍니다.

     

     

    운영중으로 바뀌면 서버 관리 및 설정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목적은 포트포워딩이었죠? 서버 관리 왼쪽에 있는 포트 포워딩 설정 버튼을 눌러줍시다!

     

     

    외부 포트에 1028을 입력해줍니다.

    외부 포트의 값은 1024~65534 안이라면 상관이 없고, 내부 포트의 값은 22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제 추가 버튼을 누르고 하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번엔 설정에서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여기서 아까 내려받은 인증키를 첨부해줍니다.

    그리고 하단의 비밀번호 확인 버튼을 눌러줍시다!

     

     

    그러면 첨부된 파일에 저장되어 있던 비밀번호가 뜹니다.

    해당 비밀번호는 서버를 접속할 때 꼭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로 저장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만든 서버에 접속하기

    방금 만든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의 IP와 외부 포트, 그리고 Putty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Putty는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Download PuTTY - a free SSH and telnet client for Windows

    Is Bitvise affiliated with PuTTY? Bitvise is not affiliated with PuTTY. We develop our SSH Server for Windows, which is compatible with PuTTY. Many PuTTY users are therefore our users as well. From time to time, they need to find the PuTTY download link. W

    www.putty.org

     

    PuTTY를 켜고 아까 받아뒀던 서버 접속용 공인 IP와 외부 포트번호를 입력하고 Open을 눌러줍니다.

     

     

    Open을 누르면 터미널창이 하나 실행됩니다.

    아이디는 root, 비밀번호는 아까 따로 보관해둔 비밀번호를 입력해줍니다.

     

     

    아래와 같이 접속되면 끝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