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1월 24일 일요일입니다! 어제 늦게 잔 여파로 늦잠을 자버려서 침대 위에서 빈둥빈둥 하다가 저녁이 다 되어서야 PS문제를 잡게 되었습니다.. (주말에 공부하는 것은 참 어렵습니다 ㅠㅠ)
아무튼 이번 문제는 저번 문제와는 다르게 문제가 원하는 대로 스택이나 큐를 써서 풀어보도록 하려고 합니다.
0.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0.0.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0.1. 입출력 예
progresses | speeds | return |
[93, 30, 55] | [1, 30, 5] | [2, 1] |
[95, 90, 99, 99, 80, 99] | [1, 1, 1, 1, 1, 1] | [1, 3, 2] |
0.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1. 풀이 과정
다행히 문제 이해가 어렵진 않았습니다. 어짜피 인덱스를 사용할 것이라면 스택이나 큐 둘중 무엇을 사용해도 상관이 없을 것 같긴 했는데 굳이 스택을 써서 거꾸로 넣는 것보다 큐를 써서 순서대로 넣고 순서대로 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큐를 사용해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먼저 queue<int>를 하나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위에서 만든 큐에 인덱스들을 하나하나 넣어줍니다. (이제 이 인덱스가 완료될 때마다 큐에서 빼낼겁니다)
기본 준비가 완료되었으니 이제 큐에서 인덱스가 모두 사라질 때까지 시간을 진행시켜줍니다.
딱히 시간을 계산할 필요는 없어보이니 시간 변수는 따로 만들어주지 않습니다.
대신 몇 개의 기능이 동시에 배포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cnt라는 int형 변수를 하나 만들어줍니다. (이 변수는 배포가 완료될 때마다 0으로 초기화됩니다)
progresses에 speeds를 각 인덱스에 맞춰서 더해줍니다.
기준이 되는 인덱스가 100이 넘어가면 그 순간 cnt를 1 증가시키고, 큐에서 그 인덱스를 빼줍니다. 만약 다음 인덱스도 확인해서 100이 넘어간다면 반복해서 cnt를 증가시키고 큐에서 인덱스를 빼줍시다.
그 턴에 진행상태가 100이 넘어가는 기능중 배포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찾아서 배포했다면
그 턴에 배포한 기능의 수인 cnt를 answer에 push_back합니다. (cnt가 0이라면 배포하지 않아야 합니다. 안그러면 매 턴마다 0이 answer에 push_back 될테니까요. 0은 return값에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 턴으로 넘어갑니다. (cnt가 초기화됩니다)
이 작업을 반복해서 큐가 비는 순간 작업을 중지하고 answer를 return합니다.
Big-O notation은 for문이 병렬로 2번 있으므로 가장 최적일 때 O(2N)이 되겠습니다. 다만 while문의 특성상 작업 시간이 계속해서 늘어날 수 있습니다.

2. 소스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progresses, vector<int> speeds) {
vector<int> answer;
queue<int> q;
int size = speeds.size(); // size를 int형으로 따로 저장해 두는 것이 시간적으로 이득
for (int i = 0; i < size; ++i)
q.push(i);
while(!q.empty()){
int cnt = 0;
for(int j = 0; j < size; ++j)
progresses[j] += speeds[j]; // progresses에 speeds를 더해주는 과정
while(!q.empty() && progresses[q.front()] >= 100){ // 100이 넘어갔을 때 처리
++cnt;
q.pop();
}
if(cnt != 0)
answer.push_back(cnt);
}
return answer;
}

3. 후기
이번 문제 역시 추가적으로 최적화 시킬 여지가 남아있습니다.
이미 진행상태가 100이 넘어간 기능의 경우 더이상 더해 줄 필요가 없죠.
이 부분을 수정한다면 보다 시간적으로 훌륭한 해결책이 될 것입니다.
progresses[j] >= 100이면 += 연산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어 보입니다.
다른 분들의 풀이를 보니 배포되는 시점을 구할 때 99에서 progresses[i]를 빼고 그 값을 speeds로 나눈 후 1을 더해주는 방식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구하고 나서 뒤의 기능들도 progress가 100이 넘어서 배포해야 하는 경우 ++answer.back() 해주면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겠네요. 세상에는 머리가 좋은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매번 느끼는 거지만 풀고 나면 참 간단한데, 알고리즘을 생각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아직 알고리즘 문제를 별로 해결하지 않은 탓이겠죠.
보다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속 반복해서 꾸준히 문제를 푸는 것이 생명인 것 같습니다!!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최근댓글